
1. 정의
(1) 데이터(data)라는 용어는 1646년 영국 문헌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라틴어인 dare(주다)의 과거 분사형으로
'주어진 것'이란 의미로 사용되었다.
(2) 1940년대 이후 컴퓨터 시대 시작과 함께 데이터의 의미는 과거의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에서 기술적이고
사실적인 의미로 변화되었다.
(3) 데이터는 추론과 추정의 근거를 이루는 사실이다. (옥스퍼드 대사전)
(4) 데이터는 단순한 객체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른 객체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가치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2. 데이터의 특성
- 존재적 특성 : 객과적 사실(fact, raw material)
- 당위적 특성 : 추론, 예측, 전망, 추정을 위한 근거(basis)
3. 데이터의 유형
구 분 | 형 태 | 예 | 특 징 |
정성적 데이터 | 언어, 문자 등 | 회사 매출이 증가함 등 | 저장, 검색, 분석에 많은 비용이 소모 됨 |
정량적 데이터 | 수치, 도형, 기호 등 | 나이, 몸무게, 주가 등 | 정형화된 데이터로 비용 소모가 적음 |
4. ADsP 기출문제
1) 다음 중 정량적 데이터가 아닌 것은?
① 도형 ② 기호 ③ 숫자 ④ 숫자
2) 다음 중 정성적 데이터에 속하는 것은?
① 강수량 ② 온도 ③ 기상특보 ④ 풍속
※ 정답
1) 4
2) 3
반응형
'교육 > 빅데이터분석자격증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프로그래밍] R 소개 (0) | 2022.05.20 |
---|---|
5분안에 끝내는 회귀분석 (0) | 2022.05.16 |
데이터베이터란? (0) | 2022.05.16 |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관하여 (0) | 2022.05.16 |
2장 데이터분석기획 설명자료 (0) | 2022.05.13 |